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시, 로봇 드론 산업 인재양성 아카데미 운영

by 뽀짝뽀짝 2023. 9. 28.
반응형

서울시는 드론택시, 서비스 로봇 등 로봇 산업 및 기업의 현장 인력 수요에 발맞추어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고 나아가 기업과의 인턴쉽 연계 등 취업까지 지원한다. 교육에서 사용한 드론제어 및 응용코딩용 미니컴퓨터 지급한다.

 

 

 

아카데미 운영방법

서울 로봇, 드론 아카데미는 서울 강남구 개포동 소재 개포디지털혁신파크에서 본인부담금 20만 원을 예치하고 수업 진도율 70% 이상 충족 시 예치금을 환금해 주는 교육비 예치환불제로 운영한다.

 

 

서울 로봇 아카데미

로봇 기업(모바일 플랫폼, 협동로봇)등 수요조사를 통해 로봇디자인엔지니어, 로봇비전 활용 등 2개의 전문교육 과정을 편성해서 기업이 원하는 실무형 엔지니를 양성한다 또한, 로봇 기업 인턴십 연계 등을 통해 취업지원도 한다.

 

  • 기술교육 : 산한연 전문가, 로봇기업 관계자, 현직 개발자 등 로봇 전문가 네트워킹을 활용하여 강사 또는 멘토로 참여시켜 실무형 엔지니어 양성 교육을 추진한다.
  • 교육과정 : 실습 및 응용 위주로 교육을 위해 협동로봇, 실내외 자율주행로봇, 로봇비전, 서비스로봇 등 산업용 로봇장비 및 로봇기자재를 활용하여 프로젝트(팀별과제) 교육을 한다.

 

신청방법

서울 로봇 아카데미 누리집 및 온라인접수창구에서 신청 접수를 받으며 서류 및 면접평가를 거처 교육생을 선발한다

구분 교육과정(교육시간) 모집인원 모집기간 교육기간
1 모바일 플랫폼 기반 서비스로봇(280시간)
SI 로봇디자인엔지니어(210시간)
70명

5.25.()~6.15.() 6.19.() ~ 8.31.()
로봇비전활용 엔지니어(120시간) 5.25.()~6.15.() 7.17.() ~ 8.18.()
2 협동로봇 SI(192시간) 30명 8.1.() ~ 8.27.() 10~12

 

 

서울 로봇아카데미 누리집(바로가기)

 

 

 

서울 드론 아카데미

드론 하드웨어 설계 및 개발, 소프트웨어 개발 등 2개의 전문교육 과정을 편성해서 기업이 원하는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가지 직접 설계 및 개발을 할 수 있는 전문가형 엔지니를 양성한다 또한, 인턴십 연계 등을 통해 취업지원도 한다.

그리고 교육 수료자들은 교육에서 사용한 드론제어 및 응용코딩용 미니컴퓨터는 가져가도 된다.

 

신청방법

서울 드론 아카데미 홈페이지에서 신청 접수를 받으며 서류 및 면접평가를 거처 교육생을 선발한다

 

구분 교육과정(교육시간) 모집인원 모집기간 교육기간
1 드론 기초이론(30시간), 하드웨어(74시간), 소프트어 개발(96시간) 등 34명
5.30.()~6.16.() 6.19.()~7.29.()
2차 34명 6.20.()~8.11.() 8.14.()~9.23.()
3 34명 8.16.()~10.13.() 10.16.()~11.25.()

 

 

 

서울 드론아카데미(바로가기)

 

 

문의처

서울 로봇아카데미는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또는 한국로봇산업협회(seoulrobotacademy.kr@gmail.com)이고 서울 드론하카데미는 서울드론 아카데미 사무국(02-6409-4915)이다.

 

 

로봇직업혁신센터(바로가기)

 

 

지금까지 서울시, 로봇 드론 산업 인재양성 아카데미 운영 및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로봇산업 현황 및 로봇활용 전문인력 양성관련 포스팅 글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아래 링크로 이동해 주세요.

 

 

 

 

로봇산업, 미래 산업의 핵심

로봇산업은 인공지능(AI), 머신 러닝(ML),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과 결합하여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로봇산업은 제조, 의료, 물류,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미래 산업

phozzac.com

 

 

로봇활용 전문인력 양성 로봇직업혁신센터 개소

산업통상자원부는 총 295억 원을 들여 2022년 12월 8일 경북 구미시 구미전자정보기술원 내 로봇직업혁신센터를 신축건물 및 직업 훈련에 필요한 실습용 로봇을 구축하여 로봇활용 전문인력을 양

phozzac.com

 

 

 

 

 

 

 

 

 

 

 

반응형